분류 전체보기
-
W컨셉의 와이어프레임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Daily 2022. 9. 20. 09:01
PM이 협업을 위해 알면 도움이 되는 다양한 UI디자인 툴에 대해 알아보았다. Sketch와 Adobe XD 그리고 Figma로 UI 디자인에 특화되어있는 벡터 기반의 툴이며 Invision과 ProtoPie는 UI디자인도 가능하지만 프로토타이핑에 더욱 효과적인 툴이라고 한다. 이 다섯가지 외에도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툴들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Sketch와 Figma는 이전 회사에서도 많이 사용했던 툴이라 반가웠다. 반응형 웹에 대한 강의를 들으며 REM이라는 단위를 처음 알게되었다. 오늘도 다양한 개념과 기획자가 UI 디자인 툴로 어떤 산출물을 만들어야 하는지를 알게되었다. 오늘도 새로운 프로덕트 하나를 잡고 배운 것을 간단하게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오늘의 프로덕트, W컨셉 W컨셉은 국내 디자이너..
-
유튜브 Shorts 프로토타이핑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Daily 2022. 9. 17. 01:22
오늘 점심때까지만 해도.. 새로운 프로덕트를 선택해 진행해보려고 했지만.. 효율적으로! 빠르게! 진행해 보기 위해 이미 UX 분석을 시도해 본 유튜브 Shorts로 프로토타이핑 맛보기를 해보려고 한다. --- 일단 이 프로토타이핑이란 무엇일까? “프로토타이핑이란 소통의 도구이다" 개발자, 디자이너 등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보며 정보들이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고 합의하기 위한 소통의 도구이다. 또한 실제 유저의 플로우를 파악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게 때문에,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개발 전기획, 디자인 단계에서 생각하지 못한 요소를 발견하고 실제 유저의 플로우를 발견해서 개발 단계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종이에 손으로 슥슥 완성하는 Lo-Fi 프로토타입(페이퍼 프로토타입핑..
-
마켓컬리에서 UX디자인 심리학 법칙 찾기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Daily 2022. 9. 15. 20:25
UX 디자인 심리학? 왜 심리학을 봐야할까? 충분한 데이터를 가지고 의견과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지할 데이터가 아직 모이지 않은 상태에서 이해관계자에게 이해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심리학을 기반한 논리를 토대로 정당성을 입증할 수 있다. 아래 10가지 UX 심리학을 공유한다. 갑자기 10가지나? 하고 놀랄 필요는 없다. 실무에서는 00의 심리학을 기반하여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라고 얘기할 필요없이, 개념만 잘 이해하여 활용하게 되니 이름을 꼭 외울 필요가 없다. 1. 제이콥의 법칙: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다른 사이트들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길 원한다. 2. 피츠의 법칙: 대상에 도달하는 시간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크기가 클수록 빨라진다. 3. ..
-
유튜브 Shorts의 UX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Daily 2022. 9. 14. 23:33
지난주까지 What to build를 배웠다면, 오늘부터는 How to build를 배우기 시작했다. UX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사용자의 행동, 프로덕트에서 겪는 모든 종합적인 경험들 UI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여지는 화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매개체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심미적인 요소들, 시각화된 그래픽 UX와 UI 디자인은 단순히 제품이 예뻐보이기 위한, 심미적인 퀄리티만을 높이기 위한 고려사항이 아니다. 제작자의 의도대로 고객이 프로덕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UX 설계 시 기억해야할 요소: 3가지 UX 장치들 이미지를 통해 행동을 유도: 지도나 진행바 등을 통해 고객의 ..
-
[W3] 지그재그 MVP 기획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Weekly 2022. 9. 14. 08:02
🛍 지난주 프로덕트 분석을 통해 발견한 문제 한 가지를 해결해보는 최소 기능 제품 (MVP)을 기획해보고자 한다. 지난 주에 정의한 문제: 복잡함 지그재그에 다양한 기능들이 많아 때문에 전부 파악하고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해하지 않고 사용할 수는 있으나 복잡한 만큼 활용 못하는 좋은 기능들도 있다. 어렵고 복잡하다고 느끼는 메뉴들을 사용하기 쉽게 만들자. 제품(기능) 기획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 정의 지그재그를 왜 복잡하다고 느낄까? 좋은 UX로 확인된 기능들은 상품을 보고, 쇼핑몰(스토어)을 둘러보는 기능들로 이뤄져 있다. 모바일 쇼핑에서는 상품을 보고 구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상품 둘러보기 기능'만' 중요할까? 그렇진 않다. 물건을 살 때 우리는 좋은 물건 ..
-
디즈니 플러스의 KPI & OKR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Daily 2022. 9. 8. 06:55
와버렸다... 드디어 이게 와버렸다.. 자주 얘기하지만 어렵던 그것.. KPI... KPI, KPI 노래 불렀지만, KPI에 대해 오늘 공부한 만큼 알아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뇌가 노골노골해졌다.) KPI는 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줄인 말로 핵심 성과 지표를 뜻한다. BM을 통해 우리들이 '성장하려면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가'를 파악했다면, 핵심 지표 설정 및 관리를 통해서는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 것일까'를 알 수 있게 된다. KPI는 기업, 개인, 프로그램, 프로젝트 등 추적하고자 하는 어떤 대상을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일정 단위의 시간 경과에 따라 달성하고 변화한 성과를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왜 설정해야 할까? 피터 드러커가 말했듯 측정할 수 없다면 관리..
-
채널톡의 PMF 찾아보기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Daily 2022. 9. 7. 08:05
PMF란? Product Market Fit, 제품 시장 적합성을 말한다. 여러 번의 리서치와 가설 검증을 거쳐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를 만들다 보면, 어느 순간 제품이 잘 팔리기 시작하는 시기가 찾아온다. 매출 혹은 고객 수, 사용 수 등 프로덕트의 핵심 지표가 확 J모양으로 유의미한 성장을 나타날 때가 온다. 그때 만든 MVP가 진짜 고객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며 PMF 또한 찾았다고 볼 수 있다. MVP = 타겟 + 고객 PMF = 타겟 + 고객 + 집단 MVP는 한 명의 고객의 문제만 해결했다고 해도 MVP를 찾았다고 할 수 있지만 PMF는 집단, 즉 시장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100명의 문제를 해결했다고 해서 시장의 문제를 해결했다고 보기에 ..
-
스팀 게임 BMC 그리기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Daily 2022. 9. 5. 23:38
'PM은 BM을 통해 우리가 가장 집중해야 할 것을 파악하고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 가를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 BM은 무엇인지를 오늘 정리해보려고 한다. BM은 Business Model, 즉 사업 모델을 뜻하는 말이다. BM을 통해 우리는 어떻게 돈을 벌 것인지, 어디에서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지뿐만 아니라 고객이 겪는 프로덕트의 총체적 경험을 파악할 수 있다. 인터넷에 검색하면 게임 BM에 대한 글을 많이 발견할 수 있는 데, 이는 먼 과거와 달리 현재 게임은 다양한 수익모델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다. 무료로 시작해 중간에 유료 아이템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있고 구독하는 경우도 있다. 게임이야말로 소비자가 오직 즐겁기 위해 이용하는 프로덕트인 만큼 어떻게 고객 경험을 잘 살리며 수익 모델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