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W6] 지그재그 데이터 분석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Weekly 2022. 10. 6. 08:45

     

    지그재그는 현재 린분석의 시점으로 보자면 확장 단계에 있는 이커머스 프로덕트라고 생각한다. 해외로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으며, 어플 내에서 콘텐츠 메뉴를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쇼핑몰과 상생하기 위한 유무료 판매자 전용 서비스 또한 점점 확장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사업 확장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이끌어왔던 사용성 및 매출 등 모든 면에서 상향선을 그려가야 한다. 이 상향선을 그려가기 위해서 지그재그는 어떤 지표를 주의깊게 봐야할까? 

     

     

    지그재그의 강점

    첫날부터 말했듯 지그재그의 강점을 다양한 쇼핑몰의 크롤링이라고 생각한다. 지그재그에서만 각 쇼핑몰의 예전에는 로딩 시간때문에 이 점이 단점이라고 느꼈던 적도 있지만 어느 순간부터 속도가 다시 빨라져 문제가 되지 않는다. 지그재그를 통해 소비자는 좋아하는 다양한 쇼핑몰들을 한 곳에서 둘러보고, 한 번에 장바구니에 담고, 쿠폰받고, 구매하고, 리뷰를 모아서 관리할 수 있다. 

     

    핵심지표

    쇼핑몰을 크롤링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의 강점 강화를 위해 지켜보면 좋을 지표는 많다.

    • 상품 상세 보기 페이지 이탈율: 쇼핑몰 크롤링 시 로딩 시간이 개선되었지만 아직 불편하다고 느끼는 고객은 없을지
    • 기기/OS별 DAU 추이: 기기나 OS별 사용 문제가 없는지
    • 전체 DAU: 쇼핑몰/상품을 둘러보고 싶을때 지그재그를 선택하는지, 사용율에 문제가 없는지
    • 메뉴별 구매 전환율: 어떤 메뉴에서 상품에 접근할때 구매 전환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지
    • 스토어 메뉴 내 체류시간: 쇼핑몰별로 상품을 조회하고 신상을 모아볼 수 있는 이 메뉴를 잘 사용하는지
    • 스토어 즐겨찾기 전환율: 선호하는 쇼핑몰을 발견해서 즐겨찾기에 넣어두었는지 (쿠폰 받을때도 즐겨찾기 유도함)
    • 앱내 체류시간: 많은 쇼핑몰/상품들을 오랫동안 둘러보는지
    • 재방문율: 쇼핑몰/상품을 둘러보고 싶을때 지그재그를 선택하는지, 리텐션에 문제가 없는지
    • 리뷰 작성율: 다양한 쇼핑몰 리뷰를 한 곳에서 쉽게 작성할 수 있고 쿠폰도 주는데 작성율이 얼마나 되는지
    • 장바구니 결제시 쇼핑몰 갯수: 결제 시 다양한 쇼핑몰의 상품들을 모아서 결제하는지
    • 첫 구매까지 소요시간: 상품을 둘러보고 장바구니에 담고 구매하는데 불편함은 없는지
    • 등등...

    이외에도 많은 지표를 지켜볼 수 있을 테고, 이커머스 입장으로 가장 핵심적인 지표는 DAU와 재방문률, 체류시간, 재구매율등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오늘은 소비자가 지그재그의 쇼핑몰 크롤링 기능에 만족하고 있을지를 지켜보기 위해서 2가지 지표를 선정해 보았다. 

     

     

    1. 상품 상세 보기 페이지 이탈율

    데이터: 상품 상세 보기 페이지로 넘어갈 때 이탈하는 정보 수집

    지표 강화를 위한 가설: 로딩 페이지 UX를 개선하는 경우 소비자의 페이지 이탈율은 감소할 것이다.

    검증 방법: 로딩 페이지의 카피 및 GUI 개선 후 30일간 사용자 2,000명에게 AB 테스트를 진행하여 이탈율 추이 확인

     

     

     

    2. 스토어 메뉴 내 체류시간

    데이터: 사용자별 스토어 메뉴 내 평균 체류시간 추이 기록 

    개선을 위한 가설: 스토어를 조회하는 분류 방식 및 UX가 개선된다면 사용자는 스토어 메뉴 내 체류시간이 길어질 것이다. 

    추후 검증 방법: 스토어 메뉴 UX 개선 후 90일간 스토어 메뉴에 접근하는 사용자 4,000명에게 AB 테스트를 진행하여 체류시간 추이 확인

Designed by Tistory.